FS (Fielding Share 필딩셰어) 는 수비 통계입니다. 선수가 수비를 통해 얻은 점수나 잃은 점수를 나타냅니다. FS 값이 0이면 같은 포지션(투수/포수/1루수/2루수/3루수/유격수/외야수)내에서 평균임을 나타냅니다. 외야수의 경우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든 상관없이 외야수 전체평균을 기준으로 합니다. 중견수로서 평균 수준이라면 외야수 중에서 상급이기 때문에 FS는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수비득점은 기본적인 수비 기록인 자살, 보살, 실책, 폭투, 포일(패스트볼)로 계산됩니다.
평가 항목
범위득점 (rRng): 야수가 수비범위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책임타구당 처리한 타구가 같은 포지션의 리그평균보다 많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실책득점 (rErr): 야수가 실책으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수비기회당 실책개수가 같은 포지션의 리그평균보다 적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실책출루는 계산에서 제외합니다.
폭투득점 (rWP): 투수가 폭투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폭투 개수가 리그평균보다 적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포일득점 (rPB): 포수가 포일(패스트볼)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포일 개수가 리그평균보다 적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닏다.
포수득점 (rCth): 포수가 자살과 보살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상대한 타자당 자살과 보살 개수가 리그평균보다 많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병살득점 (rDP): 내야수가 병살 플레이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수비기회당 병살 개수가 같은 포지션의 리그평균보다 많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송구득점 (rArm): 외야수가 보살로 기여한 득점입니다. BIP(인플레이 타구)당 보살 개수가 리그평균보다 많을수록 기여도가 높습니다.
각 항목의 합산이 종합 수비 득점인 FS가 됩니다.
포지션별 평가 항목
투수: 수비범위, 실책, 폭투
포수: 포수(자살+보살), 실책, 포일
내야수: 수비범위, 실책, 병살
외야수: 수비범위, 실책, 송구
투수와 내야수는 자살과 보살로, 외야수는 자살로 수비범위를 평가합니다. 포수는 도루저지가 보살에 포함되어 있는데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수비범위를 평가하지 않고 도루저지를 포함한 보살과 삼진을 제외한 자살을 평가합니다. 폭투는 투수만, 패스트볼은 포수만, 병살은 내야수만, 송구는 외야수만 평가합니다.
유격수로서 FS 10점이면 평균적인 유격수보다 10점을 더 기여한 것임을 의미합니다. FS는 같은 포지션끼리 비교한 것이므로 포지션에 따라서 수비 난이도가 다르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수비 난이도를 고려한 수비위치조정값이 있습니다. FS는 표본이 작으면 제대로 기능하지 않습니다. 1년치는 충분하지 않으며 몇년치는 있어야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습니다.
FS는 외야수를 좌익수/중견수/우익수 구분하지 않고 외야수 전체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좌익수로만 출장한 선수의 FS가 5점이라면 외야수 평균보다 5점을 더 기여했다는 것이 됩니다. 다만 수비 스탯이 아닌 가치 스탯에서는 수비득점을 출장한 포지션에 따라 조정합니다. 좌익수로만 출장한 선수의 FS 5점을 좌익수 기준으로 조정하면 3~4점을 더한 8~9점이 됩니다.
FS 평가 차트
FS | 수비 평가 |
15 | 매우 뛰어남 (골든글러브 수준) |
10 | 뛰어남 |
5 | 평균 이상 |
0 | 평균 |
-5 | 평균 이하 |
-10 | 나쁨 |
-15 | 매우 나쁨 |
포지션별로 편차에 차이가 있습니다.
수비범위 득점 (Runs Range)
야수의 타구 처리능력을 평가합니다. 외야수는 자살이 그대로 타구를 아웃처리한 범타가 되며, 내야수는 자살과 보살 중에서 최초로 타구를 처리한 순자살과 순보살이 범타 개수가 됩니다. 다른 야수의 송구를 받은 자살, 병살을 중계한 보살 등은 제외됩니다. 순자살, 순보살, 실책출루는 정확한 개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추정값을 사용합니다.
범타: 내야수는 순보살+순자살, 외야수는 자살
책임타구: 범타+실책출루+(수비이닝/팀수비이닝)*(팀BIP-팀아웃-팀실책출루)*리그포지션별범타점유율
범타처리율: 범타/책임타구
수비범위 득점: (범타처리율-리그평균범타처리율)*책임타구*득점가치(내야 0.72, 외야 0.84)
개량버전은 책임타구를 안타성타구와 실책성타구로 구분합니다. 실책성 타구를 못잡을 확률은 안타성 타구의 30%로 가정합니다. 안타성타구의 안타허용률이 33%이면 실책성타구의 실책출루허용률은 10%(0.33*0.3=0.10)가 됩니다.
안타허용률: 안타/안타성타구
실책출루허용률: 실책출루/실책성타구
개량버전 수비범위 득점: ((리그평균안타허용률-안타허용률)*안타성타구+(리그평균실책출루허용률-실책출루허용률)*실책성타구)*득점가치(내야0.72,외야0.84)
실책 득점 (Runs Error)
야수가 기록한 실책으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실책득점: (리그평균실책률-실책률)*수비기회*포지션별실책득점가치
실책률: 실책/수비기회
포지션별 실책 득점가치: 투수 0.48, 포수 0.33, 1루수 0.57, 2루수 0.60, 3루수 0.64, 유격수 0.63, 외야수 0.43
폭투 득점 (Runs Wild Pitches)
투수가 기록한 폭투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투구회*리그평균투구회당폭투*0.3 – 폭투*0.3
포일 득점 (Runs Passed Ball)
포수가 기록한 포일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리그평균타석당포일-타석당포일)*타석*0.3
포수 득점 (Runs Catcher)
포수가 기록한 자살과 보살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삼진자살: 자살*팀삼진/팀포수자살
포수플레이: 자살-추정삼진자살+보살
포수 득점: 포수플레이/타석*0.3
병살 득점 (Runs Double Play)
내야수가 기록한 병살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순병살: 병살 기점과 중계 (유격수의 경우 93%로 추정)
병살률: 순병살/수비기회
병살득점: (병살률-리그평균병살률)*수비기회*0.26
송구 득점 (Runs Arm)
외야수가 기록한 보살로 득점을 평가합니다.
보살율: 보살/BIP
송구득점: (보살율-리그평균보살율)*BIP
수비 득점 (Fielding Share)
각 항목을 합산하면 수비 득점인 필딩셰어가 됩니다.
수비득점: 수비범위득점 + 실책득점 + 폭투득점(투수) + 포일득점(포수) + 포수득점(포수) + 병살득점(내야수) + 송구득점(외야수)
다른 수비스탯과 상관관계
MLB의 경우 가장 뛰어난 수비스탯은 OAA (Outs Above Average) 입니다. OAA는 스탯캐스트라는 추적 시스템을 이용해 타구 속도와 각도, 수비수와 타구의 거리, 주자의 달리기 속도 등을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타구의 난이도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몇년전까지 가장 뛰어난 수비스탯이라고 알려졌던 DRS (Defensive Runs Saved), UZR (Ultimate Zone Rating) 보다 훨씬 정확하게 수비를 평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OAA와 상관관계가 높을 수록 뛰어난 수비스탯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FS는 OAA와의 상관관계가 좋은 편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MLB 수비스탯별 OAA와 상관관계 (2016~2022년)
FS는 개량버전을 FS+로 표시하여 구버전과 구분하였습니다. 구버전도 7개 포지션 평균 0.45 정도의 괜찮은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량버전은 평균 0.52 정도의 상관계수로 TZ(Total Zone)이나 ZR(Zone Rating)을 능가하며 UZR과도 차이가 근소합니다.